팁 아닌 팁

보건증 발급 기간 온라인 및 오프라인

-_-_-_-_-_-_- 2016. 10. 4. 23:55
반응형


보건증 발급 기간 온라인과 오프라인 기간


알바 등을 하기 위해서 보건증을 발급받아야 할 때가 있다. 보건증이 그렇게 익숙한 개념은 아니라서 당황하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보건증은 오프라인으로, 또 온라인으로도 받을 수 있는데 각각의 보건증 발급 기간 정해져 있어서 알아둬야 한다. 오늘 보건증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자.






먼저 온라인으로 보건증을 발급받는 방법부터 살펴보자. 보건증은 공공보건포탈 사이트에서 취급하고 있는데, 검색을 통해서 쉽게 찾아들어갈 수 있다. 위의 사진은 공공보건포탈의 메인 화면을 캡쳐한 것인데, 여기서 왼쪽의 재증명 발급 버튼을 클릭해서 들어가면 된다.






제증명발급이 곧 보건증 재발급과 같은 의미를 가지니 확인을 하고 넘어가야 한다. 발급 전 유의사항이 있으니 쭉 읽어보면 좋은데 가장 조심해야 할 부분은 공유프린터 사용 금지 부분이다.



개인정보 보호 차원에서 그런것인지 공유프린터로는 출력을 할 수 없게 막아놓았다. 이후 개인정보입력 및 본인확인에 동의를 하고 보건기관을 검색할 차례이다.





위의 그림과 같은 팝업이 나타날텐데, 여기서 자신이 검사를 받은 적이 있거나 또는 자신이 사는 지역에 있는 보건소를 검색을 해보자. 






검색된 보건기관 중에서 잘 선택을 하면 제증명 원문발급 및 재발급이 가능한 보건기관인지 알려주는데, 만약 불가능하다고 하면 다른 보건소를 선택을 해야한다. 적절하게 선택을 했다면 확인 버튼을 클릭하고 이름 및 주민번호 등 신상을 쓴 다음 공인인증까지 하면 출력이 진행된다.


보건증 발급 기간은 오프라인의 경우에는 검사 후 일주일 이내에 받아볼 수 있고, 재발급은 유효기간이 발급 이후로 1년이므로 1년이 지나기 전에 다시 재발급을 받아야 한다.


오늘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보건증 발급 기간 및 기타 정보를 알아보았다. 늦지 않게 미리미리 재발급 준비를 해보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