팁 아닌 팁

자동차 정기검사 조회 하는 방법

-_-_-_-_-_-_- 2016. 8. 8. 23:08
반응형


정기적으로 갱신을 하던가 점검을 받아야 하는 일들이 있다. 예컨대 운전면허도 그 기간이 길지만 어쨌거나 주기적으로 갱신을 받아야 한다.



면허뿐만 아니라 차량을 소유하고 있다면 자동차도 정기적으로 점검을 받아야 한다. 자동차 정기검사 조회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자동차 정기검사 조회 하려면 교통안전공단 홈페이지로 들어가야 한다. 검색창에 교통안전공단을 검색하거나, 주소창에 위 사진에 보이는 주소를 입력해서 들어가자. 우리가 자동차 정기검사를 받아야 하는 이유는, 제 기간내에 받지 않으면 과태료를 내기 때문이다. 그래서 미리 조회해보는 것이 좋다.








교통안전공단 웹사이트에 접속했다면 위의 사진과 같은 메인 화면을 볼 수 있다. 여기서 중단 즈음에 보면 바로가기 메뉴를 모아놓은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서 가장 왼쪽에 보이는 '자동차검사'에 커서를 올리면 하단에 하위 메뉴가 나타난다. 자동차검사 날짜조회 메뉴로 들어가자.








자동차 정기검사 조회 하려면 먼저 준비해야 하는 것이 있다. 바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자동차의 등록번호, 그리고 주민등록번호(또는 사업자 등록번호나 법인번호)다.



주민등록번호는 본인의 것이니 모를리는 없고, 자동차 등록번호를 미리 알아두는 것이 좋겠다.










새로 열리는 탭에서 자신의 차량 등록번호와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고 '검색'을 누르면 검사유효기간 시작일자 및 만료일자를 확인할 수 있다. 만료일자 이전에 자동차 정기검사 조회 해서 알아둬야 과태료 대상이 되지 않는 것이다.






하는 김에 검사 예약까지 미리 해두면 두 번 일 하지 않고 편하다. 인터넷 검사 예약과 인터넷 사전 접수로 두 종류로 나뉘는데, 인터넷 검사 예약은 말 그대로 일자 및 시간을 예약하는 것이다. 사전 접수는 검사일만 사전 접수하고 현장에 방문해 접수를 따로 해야한다.






예약을 하기 위해서는 차량 등록번호와 주민등록번호, 그리고 추가적으로 예약자의 연락처가 필요하다. 자동차 검사에는 수수료가 발생하는데, 이 예약을 해두면 1천 2백원을 할인해주고 장애인 및 국가유공자는 절반까지 할인받을 수 있다.


오늘은 자동차 정기검사 조회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