팁 아닌 팁

안압이 높을때 증상 미리 알아두기

-_-_-_-_-_-_- 2017. 5. 30. 22:55
반응형


안압이 높을때 증상 미리 확인하여 대비하기


요즘 야근도 많이하고 오래동안 컴퓨터를 사용해서 그런지 눈이 아프고 흐릿하게 보이는 증상이 자주 나타나고 있다. 눈 건강이 나빠진 듯하여 좀 찾아보니 안압이 높아질 수도 있다고 한다.



안압이 높아지면 눈에 당연히 좋지 않을뿐만 아니라 심하면 녹내장 등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한다. 오늘은 안압이 높을때 증상 어떤 것들이 나타나는지 미리 확인해보려고 한다.




안압이란 어떤 것인지에 대해 먼저 알아볼 필요가 있다. 안압은 단어 자체에서도 알 수 있듯이 안구의 압력이라고 할 수 있다. 안구 내부의 일정한 압력을 의미하는데 녹내장 진단 및 치료에 지표로서 사용되는 중요한 개념이기도 하다. 안압을 수치로 표현했을 때 15정도가 정상이며 10에서 20 사이이면 일단은 괜찮은 수준으로 보고 있다고 하는데, 사람이 다 다르듯 눈도 다 다르기 떄문에 정확한 수치로써 나타내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한다.




이 안압이 높아지면 여러 가지 증상을 동반하게 되는데, 안압이 높을때 증상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면 먼저 눈의 피로감을 말할 수 있겠다.



눈의 피로감이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특히 충혈 및 뻑뻑한 느낌이 지속된다면 안압이 높아졌다는 신호로 받아들일 수 있다.




안압이 높을때 증상 자체가 심해지면 단순한 출혈이나 뻑뻑한 느낌에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터질 것 같은 통증으로 발전할 수 있다. 또한 눈에서 열이 나는 것 같은 '열감' 또한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시야가 흐릿해지거나 침침해지고 뿌옇게 보이는 경우 또한 대표적인 증상이라고 한다. 이렇게 안압이 높아지면 일상생활이 불편해질뿐만 아니라 시신경이 손상되기 때문에 녹내장으로 발전할 수 있기에 주의해야한다.




안압 상승에는 여러 요인이 존재하는데 유전적인 요인이 있을 수도 있고, 대부분은 생활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고 한다. 컴퓨터나 스마트폰처럼 전자기기를 끼고 살다시피 하는 현대인들에게 눈 건강 관리는 옵션이 아닌 필수라고 생각된다. 젊은 세대의 녹내장 발병률도 점차 높아지는 추세라고 하기에 '나는 아니겠지'라는 안일한 생각은 접어두고 지금부터 관리를 해야한다. 초기에 안압을 낮추는 약을 넣거나 혹은 복용하여 가라앉힐 수 있기에 초반에 제압해야 한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안압이 높을때 증상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눈이야말로 돌이키기 힘든 신체 부위이니 각별히 더 신경을 써야겠다.



반응형